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퇴직금 계산기 사용법] 1분 만에 자동 계산하는 꿀팁 + 공식 사이트 링크

    1. 퇴직금 계산 공식은?

    퇴직금은 다음 공식을 따릅니다.

    퇴직금 = 1일 평균임금 × 30일 × (근속연수 ÷ 12)
    • 📌 평균임금 = 3개월간 총급여 ÷ 총 일수
    • 📌 주 15시간 미만 근로자 또는 1년 미만 근속자는 원칙적으로 대상 아님

    2. 퇴직금 계산기 사용법 (고용노동부)

    1단계: 고용노동부 퇴직금 계산기 사이트 접속

    2단계: 입사일과 퇴사일 입력

    3단계: 최근 3개월 급여 총액 입력

    4단계: 자동으로 평균임금 및 퇴직금 계산 결과 확인

    모바일에서도 가능하며, 비로그인 상태에서도 계산이 가능합니다.

    3. 주의할 점 3가지

    • ✅ 수당 포함 기준: 고정적으로 지급된 상여금, 식대 포함 여부 확인
    • ✅ 1년 이상 근무한 경우만 법적 퇴직금 발생
    • ✅ 퇴사 전 급여명세서는 꼭 보관 (계산 시 기준금액 증빙용)

    📌 2021년 이후부터는 평균임금보다 통상임금이 높은 경우, 통상임금 기준으로 퇴직금 계산이 권고되는 사례도 있습니다.

    4. 자동 계산기 바로가기 링크

    아래 버튼을 눌러 공식 퇴직금 계산기로 바로 이동해보세요.


    퇴직 전, 내가 받을 금액이 궁금하다면 꼭 계산기로 미리 확인해보세요. 실제 퇴직 시 금액이 다르게 계산되는 경우도 있어, 급여명세서와 함께 증빙자료 보관은 필수입니다.

    궁금한 내용은 고용노동부 상담센터 1350으로 문의해도 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