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2025 지자체별 출산지원금 비교표] 서울·경기·부산, 어디가 가장 많이 주나요?

1. 출산지원금 기본 개념
출산지원금은 정부와 지자체가 출산을 장려하기 위해 현금 또는 물품으로 지급하는 혜택입니다. 보편지원 + 지역별 추가지원이 존재하기 때문에, 같은 출산이어도 거주 지역에 따라 지원금 차이가 큽니다.
2025년 현재 기준으로는 대부분 첫째부터 지원하며, 둘째 이상부터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2. 지자체별 지원금 비교표 (2025년)
지역 | 첫째아 | 둘째아 | 셋째 이상 |
---|---|---|---|
서울시 | 200만원 | 300만원 | 500만원 |
경기도 성남시 | 150만원 | 300만원 | 700만원 |
부산광역시 | 100만원 | 200만원 | 500만원 |
전라북도 남원시 | 200만원 | 500만원 | 1,000만원 |
강원도 강릉시 | 200만원 | 400만원 | 600만원 |
💡 표에 기재된 금액은 기본 현금지급 기준이며, **기저귀 바우처·출산 축하용품 등은 별도로 제공**될 수 있습니다.

3. 추가 혜택 및 신청 방법
출산지원금 외에도 지역에 따라 다음과 같은 혜택이 추가 제공됩니다.
- 🍼 기저귀·분유 바우처 (월 10만원 상당)
- 🚼 출산축하용품 (신생아 키트, 유모차, 카시트 등)
- 🏠 출산가정 주택임대료 감면 / 이사비 지원
신청 방법: 출산 후 30일 이내에 주민센터 또는 복지로 통해 신청
⏳ 일부 지자체는 60일 이내 신청 허용 / 온라인 신청 가능 여부 확인 필요

4. 놓치기 쉬운 조건 정리
- 📌 거주 요건: 해당 지역에 **출산 전 6개월 이상 거주자** 조건인 경우 있음
- 📌 자녀 수 산정 기준: 주민등록등본 기준으로 동일 세대에 있어야 함
- 📌 중복지원 불가: 타 지역 이전 시 중복 수령 불가
❗ 각 시군구 홈페이지에서 공고문 확인은 필수!

같은 첫째아 출산이라도, **어디에 사느냐에 따라 100만 원 이상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특히 셋째 이상 출산 가정은 지역 선택만으로도 500만 원 이상 차이 날 수 있죠.
출산 예정이거나 갓 출산하셨다면 지금 바로 거주지 지원금부터 확인해보세요!
반응형
'📚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아동수당 총정리] 만 3세부터 9세까지 매달 얼마 받나요? (0) | 2025.07.10 |
---|---|
[2025 출산 후 유아지원 총정리] 아이 태어나면 바로 받는 바우처 5가지 (0) | 2025.07.10 |
[2025 육아휴직 급여 총정리] 1년 동안 최대 1,800만 원 받을 수 있습니다 (0) | 2025.07.10 |
[2025 출산지원금·출산휴가 총정리] 지금 안 챙기면 최대 300만 원 손해입니다 (0) | 2025.07.10 |
[2025 실직자 필독] 실업급여와 국민취업지원제도, 지금 신청 안 하면 손해! (0) | 2025.07.10 |